우분투 스튜디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분투 스튜디오는 멀티미디어 제작을 위한 운영 체제로, 2007년 4월 처음 배포되었다. 다양한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12.04 버전부터는 lowlatency 커널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편집에 특화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설치하며,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편집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하드웨어 지원 및 낮은 지연 시간(low-latency) 커널을 통해 안정적인 멀티미디어 제작 환경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분투 (운영 체제) - 캐노니컬
캐노니컬은 우분투 리눅스 배포판 개발 및 지원으로 유명한 영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로, 런치패드 웹사이트 운영과 더불어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 오픈 소스 기반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 우분투 (운영 체제) - 쿠분투
쿠분투는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KDE 플라즈마 데스크톱 환경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Qt 툴킷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이름은 '타인에 대한 배려' 또는 '무료'를 의미한다. - 데비안 기반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데비안 기반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우분투 스튜디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개발 주체 | Ubuntu Studio Project |
| 계열 | 리눅스(유닉스 계열) |
| 소스 모델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 최초 출시 | 7.04 (Feisty Fawn) / 2007년 5월 10일 |
| 최신 버전 | 24.04 LTS (Noble Numbat) |
| 최신 버전 출시일 | 2024년 4월 25일 |
| 마케팅 대상 | 멀티미디어 애호가 |
| 사용 언어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
| 지원 플랫폼 | x86-64 |
| 커널 종류 | 모놀리식 커널(리눅스 커널), 낮은 지연 시간을 위해 패치됨 |
| 사용자 영역 | GNU |
| 사용자 인터페이스 | Xfce KDE Plasma (20.10부터) |
| 라이선스 |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주로 GPL) |
| 패키지 관리자 | APT |
| 웹사이트 | ubuntustudio.org |
| 기술 정보 | |
| 작동 상태 | 현재 |
| 패키지 관리 시스템 | APT |
2. 역사
(결과값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우분투 스튜디오는 멀티미디어(음악, 영상, 이미지) 편집에 특화된 운영체제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설치하여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처리에 유리하도록 낮은 지연 시간(레이턴시) 설정을 적용했다. 파생된 우분투와 비교했을 때, 음성 재생 지연을 줄이기 위해 초당 인터럽트 발생 횟수를 1000회로 늘린 low-latency 커널을 채택한 것이 큰 특징이다.[9]
3. 특징

테마는 파란색과 검은색을 기반으로 하는 독자적인 아트워크를 사용한다.
우분투 스튜디오는 우분투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이며, 멀티미디어 편집 환경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우분투 프로젝트에 기여한다. 우분투와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패키지 종류와 시스템 설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베이스 시스템은 동일하다.
3. 1. 낮은 지연 시간 (Low-latency) 커널
우분투 스튜디오 8.04 버전에는 집중적인 오디오, 비디오 또는 그래픽 작업을 위해 수정된 실시간 커널이 처음 포함되었다. 8.10 릴리스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9.04 릴리스에서 다시 구현되었고 9.10 릴리스에서 안정화되었다. 그러나 10.04 버전부터는 기본적으로 실시간 커널을 포함하지 않으며, 10.10 버전부터는 저장소에서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3]
Ubuntu Studio 12.04부터 기본 커널은 linux-lowlatency이다. 이는 일반적인 우분투 리눅스 커널이지만, 더 낮은 지연 시간에서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정이 조정되어 있다. 많은 실시간 패치가 바닐라 커널에 구현되었고, linux-rt 유지 관리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Ubuntu Studio는 linux-lowlatency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스케줄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즉각적인 CPU 시간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오디오 지연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4] 9.10 버전에서는 "Ubuntu Studio Controls"를 통해 사용자가 "Nice 활성화"를 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JACK에서 XRUN(오디오 드롭아웃) 없이 낮은 오디오 지연 시간을 유지하면서 무선 네트워킹과 독점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었다. nice에 더 음수 값을 입력하면 실시간 오디오 프로세스에 더 많은 CPU 시간을 할당한다.
실행 지연(레이턴시)은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컴퓨터가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반환하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의미한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제약 때문에 발생하며, 고성능 컴퓨터라도 어떤 장치를 이용한 조작이든 크고 작은 레이턴시가 발생한다.
제작 환경에서 MIDI키보드를 눌러서 발신된 신호가 음성으로 출력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이나, 펜 태블릿으로 입력한 내용이 화면에 그려지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이에 해당한다. 실행 지연의 크기는 제작자의 퍼포먼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가능한 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 처리에서 실행 지연 단축은 Windows에서는 ASIO 드라이버, macOS에서는 Core Audio 드라이버(Mac OS 9 이전에는 Sound Manager) 등으로 실현하고 있다.
Linux의 경우 커널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구조(모놀리식 커널)이기 때문에 커널 주변을 조정하여 대책을 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설정은 오디오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제작 목적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실시간 커널은 일반적인 리눅스 커널에 CONFIG_PREEMPT_RT 패치를 적용하여 실시간 운영 체제로서의 성능을 발휘하게 한 것이다. 입력 신호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Ubuntu Studio 프로젝트 팀은 실시간 커널 패키지를 Ubuntu 레포지토리에 제공해 왔다. 실시간 커널 제공은 Ubuntu Studio의 첫 번째 릴리스인 7.04가 아닌 8.04 버전부터 시작되었으며, 8.10에서는 패치 버그 등의 문제로 제공이 보류되었지만, 9.04와 9.10에서 다시 제공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유지 보수의 부담 등의 문제로 10.04 이후부터 다시 제공이 중단되었다.
이 사이에 CONFIG_PREEMPT_RT 패치의 성과 대부분이 리눅스 커널 메인 라인에 통합(merge)되어 실시간 패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14]
이를 받아들여 Ubuntu Studio 커뮤니티에서는 Ubuntu 표준 커널의 설정을 변경한 lowlatency 커널 제공이 시작되었다.[15] Ubuntu Studio 11.04부터 커널 패키지가 개발자의 PPA로부터 제공되어 테스트되었지만,[16] Ubuntu Studio 12.04부터 Ubuntu 표준 레포지토리에서 호스트가 시작되었다.[17][18]
3. 2. 소프트웨어
우분투 스튜디오는 멀티미디어(음악, 영상, 이미지) 편집에 특화된 운영체제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본적으로 설치하여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처리에 유리하도록 낮은 지연 시간(레이턴시) 설정을 적용했다. 파생된 우분투와 비교했을 때, 음성 재생 지연을 줄이기 위해 초당 인터럽트 발생 횟수를 1000회로 늘린 low-latency 커널을 채택한 것이 큰 특징이다.
우분투 스튜디오의 테마는 파란색과 검은색을 기반으로 하는 독자적인 아트워크를 사용한다.
우분투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이며[9], 멀티미디어 편집 환경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우분투 프로젝트에 기여한다. 우분투와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패키지 종류와 시스템 설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베이스 시스템은 동일하다.
우분투 스튜디오는 멀티미디어 편집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설치하여 제공한다. 11.04 버전부터는 소프트웨어 선정에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시작했으며[19], 보고되지 않았던 폰트 편집 및 DTP 관련 소프트웨어 일부를 기본 구성에서 제외했다. 이러한 사용자 의견 반영은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다.[20]
소프트웨어 특성상, 기본 패키지에도 버그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Launchpad의 PPA(Personal Package Archive)를 통해 업데이트된 버전을 배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해당 버전을 이용할 수 있다.
3. 2. 1. 오디오
(구 freebob)https://www.ffado.org/?q=devicesupport/list Device support database
